물극필반(物極必反)
24.09.19

61e0c41a9468fe9738555e6fb19cce3b80e99878e808f461f8e575daf82f815699477033119eab590842a1fd5c94af706357b924103e3c3697745d836af07f6e


물극필반(物極必反)

'사물이 극에 달하면 반드시 반전한다.'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는 가끔 바둑을 두었습니다.

실력은 대등했으나 이기는 쪽은 언제나 이성계였습니다


이에 이성계가 말합니다.

''대사는 나무를 보고 있지만, 나는 숲을 보는 중이라오."


그러던 어느 날 이성계와 무학대사가 길을 가다가, 한 농부가 산 밑에서 집을 짓고 있는 광경을 보게 되었습니다.

풍수지리에 능한 무학대사는 그 농부가 3년 안에 巨富(거부)가 될 거라고 말합니다.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들어설 자리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이성계는 반대로,

"저곳 은 몇 년 안에 폐허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로부터 3년 후,

그곳을 지나던 무학 대사는,

자신의 생각과 반대로 폐가가 되어 있는 광경을 목격하게 됩니다.

그는 이 사실을 이성계에게 전했습니다. 


그러자 이성계는 웃으며

"대사는 풍수지리에는 밝으나 대세를 판단하는 데에는 약하다."라고 충고합니다.


그곳이 폐허가 된 것은 무학대사의 풍수지리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대사의 예상대로 그 농부는 큰 부자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부자가 된 사람이, 더 이상 이런 골짜기에 살지는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분명히 사람이 많은 곳으로 가서, 떵떵거리며 살 것이라 고 판단한 것입니다.


그래서 그 집은 폐허가 되어 있었습니다.

무학대사는 풍수지리를 읽는 것에는 능했지만 이성계처럼 사람의 마음을 읽고 결과를 예측하는 데에는 부족했던 모양입니다.



바둑에서 "통유" 란

채우는 단계를 지나 비움으로써,

또 다른 세계가 있음을 알고 이해하는 경지를 말합니다.


도에 이르려면

채우는 것이 아니라 비워야 하고,

얻으려 면 주고,

가지려면 버리고,

이기려면 져주는 오묘한 역설의 세계가 바로 '통유'의 단계입니다.


현재의 삶보다

더 높은 차원의 삶을 살아가려면,

우리는 자기가 형성해 놓은 "자신의 틀"을 깨고 나와야 합니다.

그래야 비로소 그동안 보지 못했던 다른 시각의 다양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옳을 수 있어도,

전체적으로 틀릴 수 있다"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공유하기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
원하지 않는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아직 콘텐츠가 없습니다.